2022년12월1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추위, 월요일까지 계속 → 수도권 최저 영하 15도~ 영하 9도...
평년보다 5도 이상 낮은 기온. 20일부터 평년수준 회복 전망.
2. ‘이태원 참사 현장 심폐소생술, 최적 아닌 경우 많았다’ →
심폐소생술(CPR)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유럽소생위원회(ERC), 현장 영상 분석 논문.
‘압박의 속도가 너무 빠르고 이완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적.
심장에 피가 충분히 들어오지 않아 심장 이완이 덜 된 상태에서
급하게 다시 압박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세계)
3. 신한울 1호, 건설에서 가동까지 11년 걸리면서 빚어진 손해? →
신한울 1호기의 전력생산단가는 kWh당 50원 정도다.
천연가스 발전은 230원이다. 단가에서 180원의 차이가 난다.
1년이면 약 2조 원이나 된다.
신한울 1호기가 원자력안전위원 한두 명의 지독한 갑질없이
정상적으로 준공됐더라면
한전은 10조원 정도의 적자를 덜 수 있었을 것이다. (문화)
4. 중국. 코로나 공포... 감기약은 물론 복숭아 통조림까지 품귀 →
비타민C 함유된 제품들이 면역에 좋다는 풍문... ‘레몬 차’, ‘복숭아 통조림’까지 품귀.
감기약의 경우 시민들에게 ‘합리적인 구매를 해달라’고 요구할 정도로
사재기 만연... (중앙 외)
5. 콜라, 햄버거... 정크푸드, 몸에는 안좋지만 주가 수익률은 ‘쑥쑥’ →
워런 버핏(92세)이 자신의 장수 비결이라고 말하기도 한 햄버거, 콜라 등
정크푸드 주가 상승률 괄목.
맥도날드, 얌브랜즈(KFC, 피자헛 등의 모기업),
‘레스토랑 브랜즈 인터내셔널’(버거킹, 파파이스 등의 모기업) 펩시코(펩시콜라) 등
5대 정크푸드 기업의 지난 6개월 주가 상승률은 7.24% ~ 38.83%로
나스닥(평균 0.65%)이나 S&P500(5.42%) 상승률보다 최고 50배 높아...
(헤럴드경제)
6. 금리 더 오를까? → 미국은 금리 또 0.5%P 인상, 기준금리 미 4.5% vs 한 3,25%...
한·미 금리차 22년 만에 최대.
금리만 보면 한국은행도 올려야 하지만 국내 여건이 만만찮아.
내년 1월 기준금리 0.25%P 올린 다음 금리 인상을 멈출 것이라는 관측. (중앙)
7. 넷플릭스의 인기작 '톱100'. 한국, 미국에 이어 2위 →
한국 작품 16개로 미국 48개에 이어 두 번째. 지난해 10개에 비해 크게 성장.
영국과 콜롬비아가 9개로 3위. 일본은 1개. (매경)
8. 코로나로 '범죄 사망' 줄고 '극단 선택' 늘었다 →
행안부 '2022년 전국 지역안전지수' 발표.
전체 사망자 수 17.4% 증가, 코로나 등 감염병 사망자 147.7% 늘어.
지난해 5대 범죄 발생은 10.4% 줄고 자살은 1.2% 늘어. (한국)
9. 서울지하철 1호선 열차, 고장으로 한강철교 위에서 추위 속 2시간 멈춰 →
승객 500명 오후 7시 58분경부터 2시간 동안 갇히는 사고.
이 사고로 구로역∼용산역 구간 운행 중단 등 승객들 붚편. (동아)
10. 우리는 예로부터 옷을 중요시했다 →
옷과 관련된 속담을 찾아보면 70여개가 훌쩍 넘는다.
‘거지도 입어야 빌어먹는다’,
‘하루 굶은 것은 몰라도 헐벗은 것은 안다’,
‘옷이 날개’...
우리 조상들이 얼마나 의복을 중요시했는지 알 수 있는 말은 ‘의식주’다.
중국은 ‘식의주’가 일반적이다. (아시아경제, 전문가 칼럼)
이상입니다.
'[오늘 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2월 27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2.28 |
---|---|
2022년 12월 26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2.26 |
2022년 12월 13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2.13 |
2022년 12월 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2.09 |
2022년 12월 8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