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文의 방송 장악에 짓밟힌 강규형, 언론법으론 누구 짓밟나
조선일보
입력 2021.09.11 03:22
지난 2017년 9월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강규형 이사가
KBS 노조의 퇴진 구호를 들으며 이사회로 가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 있다.
KBS 이사직 해임을 둘러싼 문재인 대통령과 강규형 KBS 전 이사의 법정 공방이
강 교수의 승리로 최종 결정됐다. 3년 8개월 만이다.
대법원은 강 전 이사의 해임 취소 판결에 불복해 문 대통령이 제기한 상고를 기각했다.
대법원은 본안 심리조차 하지 않았다. 그만큼 문 대통령 주장은 말이 되지 않았다.
문 정권이 강 이사를 해임하는 과정은
이들이 말하는 언론 개혁의 실상을 여실히 보여준다.
대통령 당선 7개월 후인 2017년 12월 강 이사를 해임했는데 의도는 뻔했다.
강 이사 해임으로 KBS 이사회의 여야 구도가 여당 다수로 역전됐고,
친정권 사장을 내세울 수 있었다.
문 대통령은 극히 사소한 법인카드 유용을 구실로 강 이사를 해임하고
세월호 참사 당일 노래방에서 법인카드를 사용한 양승동씨를 사장에 앉혔다.
그런 그가 사장 후보 면접 때 세월호 리본을 달고 나와 ‘적폐 청산’을 외쳤다고 한다.
그러곤 재임 3년 동안 만성 적자의 친문(親文) 방송으로 만들었다.
문 정권의 강 이사 축출엔 KBS 노조원들이 앞장섰다.
강 이사가 재직하는 대학에 몰려가 시위하고 대학 총장에게 압력을 가했다.
그래도 물러나지 않자 회사 데이터를 빼내 강 이사의 법인카드 사용 내역을 파악했다.
강 이사 가족사진을 들고 강 이사가 사는 동네 음식점을 돌아다니면서
개인적인 유용 여부를 캐내기까지 했다.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고 방송통신위원회에 몰려가 해임을 요구했다.
홍위병이 따로 없었다.
감사원과 방통위도 이들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권력의 흥신소로 전락했다.
이 막장극을 주도한 노조 간부들은 줄줄이 KBS 간부로 올라갔다.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언론을 장악한 이들이 지금은 언론징벌법을 만든다고 한다.
그 목적이 무엇인지 강 이사가 당한 고난이 다 말해주고 있다.
'이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사카와 다쿠미, 노리다카 다쿠미 형제 (0) | 2021.09.15 |
---|---|
김형석 연대 명예교수 (0) | 2021.09.13 |
<엄마가 들려주는 이승만 건국 대통령 이야기>의 저자 정현채 씨 (0) | 2021.09.10 |
‘민노총 출범 산파’ 김준용 국민노동조합 사무총장 (0) | 2021.09.06 |
6.25 당시 간호장교로 참전한 박옥선 할머니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