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영옥의 말과 글] [156] 어떤 청춘
조선일보
- 백영옥 소설가
입력 2020.07.04 03:12
백영옥 소설가
개정판 작업을 하기 위해 10년 전 쓴 원고들을 읽다가
"내가 좋아하는 것보다 싫어하는 것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 건,
실패의 연속이었던 내 20대와 관련이 있다"는 문장을 발견했다.
대입부터 첫사랑, 첫 미팅, 10년 넘게 신춘문예에 떨어졌고, 망하기 직전 회사에서 돈을 떼이거나
좋아하던 가게가 망해버리는 징크스까지 내 20대 흑역사는 길었다.
문학을 고시 공부처럼 하면 안 된다는 말도 들었지만, 타고난 재능이 없어 보였던 나는
노량진 공시생들 틈에서 12시간씩 엉덩이가 짓무르도록 소설을 썼다.
하지만 문학 공모 인생 십수 년 동안 내가 알게 된 건,
사람의 마음을 진정 황폐화하는 건 '불확실성'이라는 것이었다.
공모에 당선됐을지, 떨어졌을지 모를 시간을 견디는 일이 자존감을 파먹는 동안
'난 뭘 해도 안 되는 사람'이라는 명찰을 스스로 붙였던 것이다.
같은 의미에서 취준생이라는 말은 연습생이나 지망생이라는 말만큼 사람을 두렵게 한다.
'규정되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는 점에서 더 그렇다.
한 아이돌 스타는 긴 연습생 시절을 "죽지 않을 만큼만 먹고, 죽을 만큼 운동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정작 더 가슴 아픈 건 대다수는 꿈이 상처로 남는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조개에 박힌 모래와 이물질이 진주를 만드는 기적을 말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조개 대부분은 그 이물질 때문에 폐사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중요한 건 복용량이다.
독성조차 '적당량'을 복용하면 약이 된다. 그러나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사람을 해친다.
사람의 마음도 비슷해서 너무 많은 실패는 독으로 내면화된다.
'20대의 분노와 절망'이라는 제목의 글을 읽다가
"사람들은 대개 회한에 찬 얼굴로 그런 실패의 역사를 '청춘'이라고 부르는 모양인데,
나는 그토록 혼란스럽고, 난폭했던 그 시절로 되돌아가고 싶은 생각이 없었다"는
과거의 내 문장을 발견했다.
지금도 여전히 이 문장이 아프다는 걸 깨달았다.
혜화동 소극장에서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노래한 그 시절의 김광석처럼.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4/2020070400007.html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정태의 시사철]이마누엘 칸트와 '영구 평화론' (0) | 2020.07.04 |
---|---|
[노정태의 시사철] 존 롤스와 god, 그리고 '정의론' (0) | 2020.07.04 |
자아도취·자기자랑 전성시대 (0) | 2020.07.04 |
동서고금의 명사들의 수명 (0) | 2020.07.04 |
[대북 전단 금지 논란]"김일성 가짜 항일, 6·25 진실만 알리면 돼" (0) | 2020.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