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영웅 백선엽 장군에 서울현충원 못 내준다는 보훈처
조선일보
입력 2020.05.27 01:30
보훈처 "서울현충원에 백선엽 장군 묘역 없다… 안장하더라도 다시 뽑아내는 일 생길수도"
논란일자 "국립묘지법 개정 상황 설명한 것"
국가보훈처가 최근 6·25전쟁 영웅인 백선엽〈사진〉 예비역 대장 측을 찾아
"국립묘지법이 개정되면 백 장군이 현충원에 안장됐다가 다시 뽑아내는 일이 생길까 걱정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올해로 만 100세를 맞은 백 장군은 최근 거동이 불편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보훈처는 "백 장군의 건강이 안 좋다는 소식을 듣고 장군의 정확한 건강 상태를 묻고자 한 것"이라고 했지만
백 장군 측은 "가족들 모두 최악의 사태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백 장군 측에 따르면 보훈처 직원이 찾아온 건 지난 13일이다.
백 장군 측은 "평소에 정부 측에서 별 연락이 없었는데 '청와대 요청 사항'이라며
국방부에서 최근 장군님의 공적(功績)과 가족 사항을 알려달라고 했다"며
"그 일이 있고 바로 얼마 뒤 보훈처 직원 2명이 사무실로 찾아왔다"고 했다.
백 장군은 최근 100세를 맞았지만 건강이 급격히 악화했다.
사무실에 찾아온 보훈처 직원들은 "장군님 근황이 염려스럽다"며 장지(葬地)에 대한 얘기를 꺼냈다고
백 장군 측은 밝혔다.
백 장군 측은 "보훈처 직원들이
만약에 백 장군께서 돌아가시면 대전 국립현충원에 모실 수밖에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원래 6·25전쟁 영웅인 백 장군의 상징성이 큰 만큼
별세 시 대전현충원이 아닌 서울현충원에 안장하는 방안을 검토했었다.
현재 서울현충원의 '장군 묘역'은 자리가 없지만
'국가유공자 묘역(1평)'을 활용하는 방안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권이 바뀐 뒤 보훈처 측에서 "서울현충원에는 장군 묘역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더욱 큰 문제는 그 이후 발언이었다.
백 장군 측은 "보훈처 직원들이 '광복회 김원웅 회장이 총선 전에 국립묘지법 개정 관련 설문을 돌렸고,
법안 개정을 (일부 여권에서) 추진 중인데,
이 법이 통과되면 장군님이 현충원에 안장됐다가 뽑혀 나가는 일이 생길까 봐 걱정'이라는 취지의 말을
했다"고 했다.
광복회는 지난 4·15 총선 직전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친일 반민족 인사를 이장하고 친일 행적비를 설치한다'는 내용의
국립묘지법 개정안 찬반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당시 정치권에서는 "총선 기간 을(乙)일 수밖에 없는 후보자들에게
'친일'이라는 명목의 대못 박기 법안 선택을 강요한다"는 걱정이 나왔었다.
보훈처 직원들이 이 법안 개정을 언급하며
백 장군이 친일 행적이 있고, 현충원에 안장되더라도 쫓겨날 수 있음을 시사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보훈처는 "뽑혀 나갈 수 있다는 발언은 한 적이 없고
광복회가 국립묘지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한 상황을 공유하는 차원에서 얘기한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백 장군 측은 "가족들도 그렇고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최근 여권 에서 나오는 국립묘지법 개정 움직임이
백 장군 등 몇몇 인사를 겨냥한 게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과 이수진 당선자는 지난 24일 서울현충원에서
"친일파 무덤을 파묘(破墓·무덤을 파냄)하자"고 했다.
군 관계자는 "현충원에 6·25전쟁 영웅인 백 장군이 안장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걸 논란으로 삼는다는 것 자체가 우려스럽다"고 했다.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향군 "백선엽 친일파 몰고가는건 대한민국 국군 부정"양승식 기자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7/2020052700104.html
[발언대] '6·25 전쟁영웅' 고 백선엽 장군을 보내드리며
조선일보
- 이종옥 대한민국 성우회장·예비역 육군대장
입력 2020.07.29 03:10
이종옥 대한민국 성우회장·예비역 육군대장
'6·25 전쟁영웅' '호국의 별' 백선엽 장군이 우리 곁을 떠났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보여준 그의 위국헌신(爲國獻身) 희생정신은
국민과 후배 장병에게 꺼지지 않는 등대가 되어 우리나라를 지켜줄 것이다.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나라를 지켰다면 6·25전쟁 때는 백선엽 장군이 대한민국을 구했다.
그는 파죽지세로 밀려오는 북한의 침략에 맞서
"내가 물러서면 나를 쏘라"는 자세로 낙동강 방어선을 사수했다.
6·25전쟁이 일어났을 때 우리는 탱크 한 대, 장거리포 한 문 제대로 없었다.
정규군도 오합지졸의 엉성한 군 편성이었다.
미군도 처음에 한국군을 얕잡아 보았다.
그는 1사단장으로 부하들을 교육·훈련시켜가며 싸웠다.
군인은 훈련받은 만큼 전투력을 발휘한다는 게 그의 신조였다.
낙동강 다부동 전투에서 적 세 사단을 한 사단 병력으로 맞아 싸워 이긴 것도
끊임없는 훈련 덕이었다.
미군도 이때부터 국군을 인정했다.
그는 1953년 5월 미국에 건너가 한·미 동맹의 초석을 마련했다.
그가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설득한 일은 '신(神)의 한 수'였다.
역대 주한 미군 사령관들은 그를 '맥아더 같은 신화이자 전설'이라며 존경했다.
지금 우리 국민은 안보 불감증에 걸려 있다.
북한이 장사정포를 쏘아대고,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핵무기를 만들어도
불안해하지 않는다.
더 기가 막힌 것은 북한을 적으로 보지 않는 것이다.
누가 적이고 누가 우군인지 불분명해졌다.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이지 말로 지켜지는 것이 아니다.
백선엽 장군의 공적은 후배들의 나침반이 되어 이 땅에 평화를 지키는 힘이 될 것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29/2020072900119.html
♠親與단체 입김 한번에 뽑혀버린 ‘백선엽 안내판’
대전현충원 묘소, 친여단체 시위 “당장 없애라”
현충원 측은 당일 철거·폐기 “찾는 사람이 줄어서 뽑았다”
입력 2021.02.08 03:00
지난해 7월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2묘역에 설치됐던 백선엽 장군 묘소 안내판(위).
현충원은 민족문제연구소가 지난 5일 백 장군 묘의 이장(移葬)과 안내판 철거를 요구하자
당일 철거했다(아래). /육군협회·신현종 기자
국립대전현충원 경내에 있던 고(故) 백선엽(1920~2020) 장군 묘소 안내판이
일부 친여(親與) 단체 항의로 철거됐다.
7일 국가보훈처와 대전현충원 등에 따르면,
지난 5일 민족문제연구소 대전지부 회원 20여 명은 대전현충원 장군 제2묘역에 안장된
백 장군 묘소 바로 앞에서 집회를 열고 백 장군을 이장(移葬)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충원 주차장과 장군 제2묘역에 설치됐던 ‘故 백선엽장군 묘소’ 안내판도 없애라고 요구했다.
한 참가자는 “친일파 안내판이나 세우고, 이게 뭐하는 짓이냐”며 “반성 안 하느냐”고 했다.
이들은 현충원 측에
“문재인 정권이 국립묘지법을 개정해서 이장한다고 하는데
오히려 대전현충원 원장은 안내판을 세우고 있다”며
“국민 여론이 가만히 놔둘 것 같으냐”고 했다.
그러자 현충원은 당일 바로 안내판을 뽑아냈다.
현충원 관계자는 본지 통화에서 “안내판을 철거한 후 폐기했다”며
“집회 참가자들의 요구 때문이 아니라
백 장군 안장 후 시간이 지나면서 찾는 사람이 적어져 철거한 것”이라고 했다.
백 장군은 6·25 전쟁 영웅이자 창군(創軍) 원로다.
그는 6·25 당시 낙동강 최후 방어선에서 병력 8000명으로 북한군 2만명의 총공격을 막아내
전쟁의 판도를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미군은 백 장군을 ‘한·미 동맹의 상징’으로 예우했다.
하지만 국내 좌파들은 백 장군이 20대 초반 일본군 장교로 복무한 전력을 들어
지속적으로 그를 ‘친일파’라고 주장해왔다.
백 장군의 1사단장 후임 송영근 예비역 중장은
“그래도 최소한의 예의는 지켜야 하는 것 아니냐.
전쟁에서 나라를 구한 영웅의 안식을 이런 식으로 방해하는 나라가 또 어디 있겠냐”고 했다.
2018년 11월 21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주한미군이 주관한 백선엽 장군(왼쪽 둘째) 생일 파티에서
해리 해리스(오른쪽) 당시 주한 미 대사가 무릎을 꿇고 백 장군을 맞이하고 있다./조선일보DB
◇“나라 구한 영웅의 안식, 이리 방해하는 나라 또 있을까”
민족문제연구소 회원들은 지난 5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고(故) 조문기 애국지사 13주기 추도식을 마치고 곧장 백 장군 묘소로 향했다.
이들은 ‘육군대장 백선엽의 묘’라고 적힌 묘비 앞에서
‘반민족행위자 백선엽 국립묘지에서 이장하라’고 적힌 대형 현수막을 흔들며 시위를 했다.
이들은 현충원 관계자들에게 “왜 백 장군만 안내판이 있느냐” “개인 묘소냐”며
손가락질을 하고 고성을 질렀다. ‘독립운동가를 때려잡던 놈’이라는 목소리도 들렸다.
한 참가자는 백 장군 묘비 앞에서 “독립운동가들을 토벌하던 만주사관학교 출신”이라고 했다.
참가자들은 백 장군을 ‘반민족 행위자’로 지칭하면서
‘이장하라’ ‘국립묘지법 개장하라’ 등 구호를 외치며 팔을 흔들기도 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친일인명사전 편찬 등 이른바 ‘친일 청산’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로
지난해 7월 백 장군이 현충원에 안장될 때도 반대 시위를 벌였다.
지난해 8월 용산구 국방부 앞에서 '아베규탄 시민행동'이
백선엽 장군의 현충원 안장 취소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소란이 이어졌지만 현충원은 이들을 제지하지 않았고 이들의 요구대로 백 장군 안내판을 철거했다.
현행 국립묘지법은
‘누구든지 국립묘지 경내에선 국립묘지의 존엄을 해칠 우려가 있는 행위를 해선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충원은
“당시 직원 20여 명이 나가 상황을 관찰했지만 국립묘지의 존엄을 해치지 않는 범위라고 판단했다”
고 했다.
현 정부 들어 백 장군 폄훼는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7월 백 장군이 현충원에 안장된 후
더불어민주당과 친문·좌파 일부는 백 장군 파묘(破墓)를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은 백 장군 안장 1개월 뒤부터 ‘친일 파묘법’을 본격 추진했다.
보훈처는 홈페이지의 백 장군 정보란에 ‘친일 반민족 행위자’라는 문구를 명시했다.
정부가 백 장군을 ‘친일파’로 공개 낙인찍은 것이다.
이에 앞서 육사는 6·25 당시 백 장군의 활약을 그린 웹툰을 홈페이지에서 삭제하기도 했다.
지난해 7월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백선엽 장군 빈소에
문재인 대통령 조화가 놓여있다./연합뉴스
'이 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동현 전 서울동부지검장 (0) | 2021.02.08 |
---|---|
전윤철 前 경제부총리 (0) | 2021.02.08 |
황교안 ‘나는 죄인입니다’ 출간 (0) | 2021.02.05 |
종양내과 전문의 김범석, 수필집 『어떤 죽음이 삶에게 말했다』 (0) | 2021.02.05 |
정주영 회장 (0) | 2021.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