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0.05.11 16:02
"투표용지 버려진 채 발견됐다"며
백악관 사이트에 올라간 청원, 10만명 동참
미 정부 60일 이내 답변 원칙
미국 백악관 청원 사이트에 올라간 ‘한국의 선거조작 의혹을 밝혀달라’는 게시글에
11일 오후 4시 쯤 10만명이 서명했다. 글이 작성된 지 약 3주 만이다.
백악관은 한 달 내에 10만명 이상이 찬성한 청원에 대해 정식으로 답변한다.
21대 총선(4월 15일)이 치러진 지 3일 만인 지난달 18일
백악관 청원사이트 ‘위 더 피플(We the People)’에는
‘탄원: 여당과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의도적으로 진행된 한국 선거’라는 제목의 청원이 올라왔다.
일부 보수 유튜버 등이 주장하는 ‘선거조작’ 의혹에 대해 진실을 밝혀달라는 내용이다.
청원자는 이 글에서 “사전 투표와 본 투표 간 정당 지지율 차이가 10~15%였다”
청원자는 이 글에서 “사전 투표와 본 투표 간 정당 지지율 차이가 10~15%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용지의 보관 장소에 CCTV를 설치하지 않았다” 등의 주장을 펼쳤다.
“투표 도장이 찍힌 사전 투표용지가 버려진 채 발견됐다”고도 했다.
“일부 투표함 안에는 접히지 않은 투표용지들이 들어 있었는데 이는 모두 여당을 찍은 표들이었다”며
“제발 도와달라”고 썼다.
이 청원이 게시된 이후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 등에선 ‘진실을 밝히기 위해 도와달라’며
이 청원이 게시된 이후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 등에선 ‘진실을 밝히기 위해 도와달라’며
청원 참여를 독려하는 게시물들이 잇따라 올라왔다.
청원 등록 한 달 뒤인 이달 18일까지 10만명의 동의를 받아야 미국 정부의 답변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오후 동의자가 10만명을 넘어서면서 백악관은 60일 이내에 공식 답변을 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이 한국의 정치
상황에 간섭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실효성 있는 해결책이 나오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난 2012년 12월 ‘위 더 피플’에 올라온 “한국의 제18대 대통령선거가 조작됐다”는 청원에 대해
미국 정부는 ‘한국 정부를 신뢰한다’는 원론적인 답변에 그친 바 있다.
‘특정 문제에는 답변하지 않을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응답을 거부할 수도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