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2.15 10:04
![](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902/15/2019021500907_0.png)
6·25전쟁 때 중공군 진지에 수류탄을 투척하고 육탄전을 벌인 영국군 참전용사 고(故) 윌리엄 스피크먼의 유해가 오는 19일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스피크먼의 유해는 18일 오후 4시쯤 유족 4명과 함께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이어 오후 5시엔 피우진 보훈처장 주관으로 공항 입국장에서 유해 봉환식이 진행된다. 유해는 서울현충원 봉안당에 하루 안치됐다가 19일 오후 2시 부산 유엔기념공원 내 유엔묘지에 안장된다.
보훈처는 "자신이 싸워 지켜낸 한국 땅에 묻히고 싶어한 고인의 뜻을 받들어 유해를 봉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안장식 준비와 유가족 체류 일정에 소홀함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했다고 한다.
스피크먼은 6·25전쟁 당시 근위 스코틀랜드 수비대 1연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1951년 11월 임진강 유역 마량산(317고지) 전투에서 중공군과 육탄전이 계속되자, 6명의 병사들과 함께 적진을 향해 수십개의 수류탄을 던지며 공격을 감행했다. 스피크먼은 전투에서 다리에 심한 상처를 입었지만 소속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후퇴하지 않고 맞서 싸웠다.
스피크먼은 부상으로 인해 1952년 1월 영국으로 후송됐지만 3개월 뒤 자진해서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같은 해 8월까지 전장을 지켰다.
그는 이런 전공으로 영연방 최고 무공훈장(Victoria Cross·빅토리아십자훈장)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받았다. 스피크먼은 자신이 40여 년 동안 정부기념식 등에 참석할 때 착용했 던 십자훈장과 영국 정부로부터 받은 기념메달, 국외파병 메달 등 총 10점을 한국 정부에 기증했다.
2010년과 2015년에 한국을 방문한 스피크먼은 "군인은 언제나 자기가 싸웠던 장소를 생각하기 마련"이라며 "죽으면 재가 돼 이곳(마량산 고지)에 묻혀 영면하고 싶다"고 말했다. 유엔 참전용사가 사후에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개별 안장되는 것은 이번이 7번째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스피크먼의 유해는 18일 오후 4시쯤 유족 4명과 함께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다. 이어 오후 5시엔 피우진 보훈처장 주관으로 공항 입국장에서 유해 봉환식이 진행된다. 유해는 서울현충원 봉안당에 하루 안치됐다가 19일 오후 2시 부산 유엔기념공원 내 유엔묘지에 안장된다.
보훈처는 "자신이 싸워 지켜낸 한국 땅에 묻히고 싶어한 고인의 뜻을 받들어 유해를 봉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보훈처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달 "안장식 준비와 유가족 체류 일정에 소홀함이 없도록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했다고 한다.
스피크먼은 6·25전쟁 당시 근위 스코틀랜드 수비대 1연대 소속으로 참전했다. 1951년 11월 임진강 유역 마량산(317고지) 전투에서 중공군과 육탄전이 계속되자, 6명의 병사들과 함께 적진을 향해 수십개의 수류탄을 던지며 공격을 감행했다. 스피크먼은 전투에서 다리에 심한 상처를 입었지만 소속 부대가 철수할 때까지 후퇴하지 않고 맞서 싸웠다.
스피크먼은 부상으로 인해 1952년 1월 영국으로 후송됐지만 3개월 뒤 자진해서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같은 해 8월까지 전장을 지켰다.
그는 이런 전공으로 영연방 최고 무공훈장(Victoria Cross·빅토리아십자훈장)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받았다. 스피크먼은 자신이 40여 년 동안 정부기념식 등에 참석할 때 착용했 던 십자훈장과 영국 정부로부터 받은 기념메달, 국외파병 메달 등 총 10점을 한국 정부에 기증했다.
2010년과 2015년에 한국을 방문한 스피크먼은 "군인은 언제나 자기가 싸웠던 장소를 생각하기 마련"이라며 "죽으면 재가 돼 이곳(마량산 고지)에 묻혀 영면하고 싶다"고 말했다. 유엔 참전용사가 사후에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개별 안장되는 것은 이번이 7번째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