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백성호 기자
갓 출생한 신생아가 일곱 걸음을 걸었다.
태어나자마자 동ㆍ서ㆍ남ㆍ북 사방을 둘러본 뒤 북쪽을 향해 일곱 걸음을 걸었다.
인도 룸비니 동산의 마야데비 사원 안에 있는 붓다의 출생 조각상.
오래 돼서 표면이 많이 닳았다. 룸비니=백성호 기자
일곱 걸음을 걷고서 아기 붓다는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고 말했다. 룸비니=백성호 기자
“하늘 위, 하늘 아래 오직 나만이 존귀하다!”
어찌 보면 독선적인 발언이다. 중국에서는 이를 한문으로 이렇게 옮겼다.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
아무리 생각해도 위험천만한 발언이다.
아니, 갓 태어난 아기가 일곱 걸음을 걸은 것도 믿기지 않는데,
처음으로 내뱉은 말은 더더욱 믿기지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따진다.
“아니, 어떻게 갓난 아기가 걸을 수가 있나. 그것도 일곱 걸음씩이나.”
지적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더구나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라니. 자기만 이 세상에서 가장 존귀하다는 건가.”
“이건 너무나 독선적이다. 독단적이다.
나중에 붓다가 되는 인물이 어쩌면 이렇게 오만한 선언을 할 수가 있나!”
많은 사람이 이렇게 비판한다.
싯다르타 왕자의 출생 일화를 새긴 조각 작품.
마야 부인의 옆구리로 태어난 싯다르타가 걸음을 걷고 있다. [중앙포토]
인도 룸비니 동산에 세워져 있는 아기 붓다의 동상. 한 손은 하늘, 한 손을 땅을 가리키고 있다.
백성호 기자
붓다가 태어난 장소인 인도의 룸비니를 찾은 적이 있다.
그 출생 장소에 마야데비 사원이 서있다.
그곳을 찾았을 때 내 안에서 물음이 올라왔다.
“실제 갓 태어난 아기가 일곱 걸음을 걸었을까?”
"옹알이만 하는 신생아가 입을 열고 ‘천상천하’를 외쳤을까?”
물론 아니다.
과학적으로도, 의학적으로도, 상식적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이 일화는 그저 지어낸 허구일 뿐일까.
그렇지 않다.
여기에는 더 깊은 상징과 울림이 도사리고 있다.
그 상징이 바로 이 일화의 존재 이유다.
룸비니 동산을 찾은 세계 각국의 순례객들이 명상을 하고 있다. 백성호 기자
(20- 끝) 붓다의 유언 (0) | 2018.01.05 |
---|---|
(19) 자식이 있어서 기쁜가, 아니면 고통스럽나? (0) | 2017.12.22 |
(18)-붓다가 말한 '먼지 없는 세상'이 정말 있을까 (0) | 2017.12.15 |
(17)-붓다, 슬픔에 잠긴 사람들을 보다 (0) | 2017.12.08 |
(16)-깨닫는 순간에 싯다르타가 본 새벽별은 어떻게 생겼을까 (0) | 201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