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쓰는 우리 예절 新禮記(예기)]<12>정체불명 성인식 하는 성년의 날
■ 이성친구와 키스, 친구들 따라 이벤트 하는데…
21일은 성년의 날입니다. 만 19세가 된 ‘새내기 성인’들의 마음이 왠지 모르게 들뜨는 날이죠.
저도 작년에 그랬습니다. 여자친구에게 향수를 받고, 학교 선배들에겐 장미꽃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향수랑 장미꽃을 받으면서 좀 웃긴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향수를 뿌리면 어른이 되나’ 싶어서요.
사실 친구들 사이에서 성년의 날은 다른 의미로 통하기도 합니다.
‘성인=성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겁니다.
어른이 된다는 건 대체 무엇일까요? 어떻게 보내는 게 성년의 날의 의미를 제대로 살리는 것인지 궁금해요.
■ 성인이 뭔가 차분한 마음으로 생각해 보는 날
우리 관혼상제의 첫째 관문인 ‘관(冠)’이 바로 머리에 갓을 써서 어른이 되는 성년례를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서양 문화와 뒤죽박죽되면서 우리 고유의 ‘관’ 의식도 옅어졌다.
오늘날 한국에선 성년의 날이 대체로 ‘장미꽃과 향수를 주고받으며 이성친구와 키스하는 날’로 통한다.
포털사이트에 ‘성년의 날’을 치면 향수와 꽃다발 브랜드가 주르륵 뜨고, 여성 속옷 광고도 등장한다.
장미는 ‘(꽃말처럼) 열정적인 사람이 되라’는 뜻이고
향수는 ‘주변에 좋은 향기를 주는 사람이 되라’는 의미로 알고 있지만,
이는 1990년대 말부터 백화점을 중심으로 시작된 성년의 날 판촉행사에 불과하다.
박희철 씨(20)는 “어른이 된다기보다 미성년자에서 벗어난다는 인식이 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청년들도 이런 성년의 날 문화가 성년의 본질과는 거리가 있다는 걸 잘 안다.
청년들도 이런 성년의 날 문화가 성년의 본질과는 거리가 있다는 걸 잘 안다.
지난해 성년의 날을 맞은 김태원 씨(20)는
“성년의 날이 상업화되면서 변질됐다는 건 알겠는데,
막상 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부모님이나 교수님, 선배들에게 물어보면 누구도 대답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김경선 성균관 석전교육원 교수는
김경선 성균관 석전교육원 교수는
“과거에는 ‘관례(冠禮)’를 치러 어른이 된다는 의미로 상투를 틀어야 혼례를 할 수 있었다”며
“지금은 성년이라는 자기인식이나 책임감 없이 결혼으로 직행하다 보니
부모 같지 않은 부모가 많은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한국과 달리 해외에선 성인으로서 의무와 권리를 알려주는 기념일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
한국과 달리 해외에선 성인으로서 의무와 권리를 알려주는 기념일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
미국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김정연 씨(26·여)는
“16세 생일 때 ‘스위트 식스틴(sweet sixteen)’이라는 축하 행사를 한다”며
“이때부터 운전면허 취득과 아르바이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모로부터 독립을 서서히 준비한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선 한국의 성년의 날과 비슷한 5월 셋째 주 월요일을 ‘시민의 날(American Day)’로 지정해
선거권이 생기는 것을 축하한다.
유대인 전문가인 홍익희 세종대 교수는
유대인 전문가인 홍익희 세종대 교수는
“여자는 만 12세, 남자는 만 13세 때 성인식을 치르는데
나보다 상대를 먼저 배려하는 인성교육과 ‘우리’를 중시하는 공동체 정신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친지들 앞에서 유대교 예배인 강론을 하기 위해 1년간 교리공부와 자기 표현력을 기르기도 한다.
1월 둘째 주 월요일을 국가 공휴일로 지정한 일본은
주소지를 둔 지방자치단체에서 만 20세가 된 청년들에게 초대장을 보내 공식적인 축하파티를 연다.
여자는 화려한 기모노인 후리소데를, 남자는 하카마를 입고 가족과 사진을 찍는다.
공식 행사가 끝난 후에는 동창회처럼 추억의 시간을 갖는다.
정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정해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20대 초반 청년들이 정체불명의 성인식을 하는 게 문제가 아니라
지향해야 할 성년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이 문제”라며
“청년뿐 아니라 기성세대가 오히려 ‘성년’의 의미를 고민해보는 날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노지현 isityou@donga.com·유원모 기자
노지현 isityou@donga.com·유원모 기자
'[새로 쓰는 우리 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부부 사이에도 예법 지켜야죠 (0) | 2018.06.05 |
---|---|
<13> 고령화 시대의 작은 장례식 (동아일보) (0) | 2018.05.24 |
<11>고령화 시대 ‘조문 예법’ (동아일보) (0) | 2018.05.14 |
<10>시도 때도 없이 울리는 선생님 전화 (0) | 2018.05.07 |
<9>아이들 예뻐하는 ‘애(kids)티켓’ (동아일보) (0) | 2018.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