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공부

성 프랜시스의 기도 (CBS)

colorprom 2017. 12. 18. 14:09

성 프랜시스의 기도 (2017년 12월 18일 월요일)


성탄의 계절입니다.

이때 우리가 해야 할 기도가 있다면

그것은 성 프랜시스의 기도일 것입니다.


‘주여, 나를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다툼이 있는 곳에 용서를,

분열이 있는 곳에 일치를, 의혹이 있는 곳에 믿음을,

불의가 있는 곳에 진리를, 절망이 있는 곳에 희망을,

어두움이 있는 곳에 밝음을,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가져오는 자가 되게 하소서.


그리고 우리를 평화의 도구로 써주시기를 함께 기도합시다.


-------------------------------------------------------------------------------------------------


성 프란시스의 기도 (St. Francis of Assisi)

 

오, 주여!

우리로 하여금 주님의 평화의 도구로 삼아주소서.


미움이 있는 곳에 사랑을 주고

악행을 저지르는 자를 용서하며


다툼이 있는 곳에는 화목하게 하며

잘못이 있는 곳에 진리를 알리고


회의가 자욱한 곳에 믿음을 심으며

절망이 드리운 곳에 소망을 주게 하소서.


또한 어두운 곳에는 당신의 빛을 비취며

슬픔이 쌓인 곳에 기쁨을 전하는 사신이 되게 하소서.


위로 받기 보다는 먼저 위로를 베풀고

이해받기 보다는 먼저 남을 이해하며

사랑받기 보다는 사랑하게 해주소서.


우리는 줌으로써 받고

자기를 버려 죽음으로써 영생을 누리기 때문입니다.


생명의 주 예수 안에서 그 이름으로 빕니다.  아멘.




가난 속에서 풍요를 누리는 사람 - 아씨시의 프란시스

소명 (부르심)

프란시스 베르나도네 (Francis Bernadone),

지금은 아씨시의 성 프란시스로 세계에 널리 알려진 이 분은

1181년 혹은 1182년 아씨시라는 이탈리아의 작은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태어난 날은 알 수가 없습니다.


그의 삶은 수세기를 넘어 현재까지 메아리를 울리고 있습니다.

이분의 부모는 부자였고 외아들인 이 아이를 위한 원대한 계획도 갖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스무살이 채 되기 전에 겪은 수많은 경험을 통해 프란시스는 가족과 부와 야망을 버리게 되었으며,

대신에 가난한 자들과 함께 살기로 다짐했습니다.

그의 이러한 결심은 마음으로부터 자라나는 단순한 열망에서 비롯되었으니,

곧 하느님의 사랑에 불타고자 하는 열망이었습니다.

하느님의 사랑이라는 불꽃에 이끌린 그는 결국 그 사랑과 함께 불타 올랐습니다.

프란시스의 삶은 그의 두가지 사랑, 그러나 결국은 하나인, 하느님과 민중에 대한 사랑을 따라 흘렀습니다. 그가 이러한 불타는 열망을 처음으로 깨닫게 된 곳은 황폐화된 산 다미아노 교회였습니다.

여기서 그는 예수님의 부르심을 들었습니다.

"프란시스야, 나의 교회를 다시 세워라."

교회 보수를 시작으로 했으나 결국에는 민중들의 삶 자체를 다시 세우게 됐습니다.

그의 설교와 삶을 통해, 그의 보살핌과 거룩함을 통해 민중들은 새롭게 변화되고

용서받은 자신의 모습과 온전하게 된 자신의 삶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프란시스는 그리스도의 사랑을 설교했을 뿐만 아니라, 그 사랑을 몸소 살았던 것입니다.

발전

곧이어 다른 사람들도 이러한 소박한(simple) 복음적 삶을 살고자 원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한 그룹이 포르티운쿨라 (작은 장소라는 뜻)에 천사의 성 마리아라는 작은 성당을 짓고 정착했습니다. 이 공동체가 성장해 감에 따라 프란시스는 자신의 설교와 고독의 시간과 노동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는 아씨시의 수바시오(Subassio) 산에 은둔처를 마련했습니다.

후에 이곳에 카르세리(Carceri)라 알려진 은둔 수도원이 세워졌습니다.

여기서 그는 창조주 안에서 모든 것들이 연합을 이루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리하여 그로부터 모든 피조물에 대한 찬양의 삶이 흘러나오게 되었습니다.

프란시스는 개인 관계와 공동체에 평화를 가져오는 일에 매우 열심이었습니다.

가난한 삶에 대한 열망이 일게 된데는 그만한 까닭이 있었습니다.

그 자신이 부(富)가 어떤 것이며 부를 향한 욕망이 사람을 상처를 입히고,

부를 유지하기 위한 방어 수단이 요구되고, 결국에 그 욕망이 족쇄로 변한다는 사실을 보았던 것입니다.

부는 또한 울타리를 치게 합니다. 울타리는 차별을 의미합니다.

한 쪽이 부요하면 다른 한쪽은 적게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되기를 원했습니다.

세상 만물은 우리의 것이며, 이를 즐기는 것이지

어느 누구의 완전한 소유가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길 바랬습니다.

모든 것은 하느님에게서 비롯하며, 우리는 그 하느님 안에서 형제요 자매인 것입니다.

클라라와 프란시스 - 포도나무의 두 가지

이러한 모든 일에서 프란시스는 성 클라라의 도움과 격려에 힘을 얻었습니다.

성 클라라는 프란시스의 모본대로 그리스도를 따르고자 했던 여인으로 가난과 기도의 삶을 살았습니다.

성인에겐 이것이 하느님과 세상을 섬기는 방법이었던 것입니다.

클라라 성인은 또한 다른 사람들을 자신의 가난하고 거룩한 삶으로 인도하여

"가난의 클라라 수도회"로 알려진 공동체를 이루었습니다.

이 수도회는 봉쇄 수도회였지만 프란시스와 그의 형제들에게 힘과 영감을 주는 원천이었습니다.

성흔(聖痕) - 거룩한 상처

1224년 프란시스는 하느님의 사랑이 지닌 한없는 넓이를 체험했습니다.

그 사랑은 고통과 죽음을 통해 전해져 오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더욱더 긴 기도와 고독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이 기간은 9월 17일에 끝났습니다.

이날 그는 "성흔" The Stigmata이라 알려진 십자가의 상처를 받았던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그 사랑에 대한 이러한 강렬한 경험은

주님의 사랑을 따르고자 애쓰던 그 성인에게 영광의 관을 씌워주는 것이었습니다.

그것은 커다란 기쁨의 원천이었지만 또한 위대한 고통이기도 했습니다.

하느님으로 부터 받은 이 '은사'의 결과로 프란시스는 건강이 계속해서 나빠지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이 지극한 고통의 시기에 성인께서는 여태까지 쓰여진 위대한 찬송 가운데 하나인

"태양의 찬가"를 써내려 갔습니다.

지극히 높으신 전능의 하느님, 지고한 선의 주님이시여
당신을 찬양하며, 당신의 위대하심과 내려주신 축복을 찬양합니다.
지극히 높으신 당신 홀로 이 찬양 받으소서
썩어 없어질 우리의 입술은 당신의 이름을 감히 부를 수 없습니다.
주님, 모든 찬양 받으소서. 당신께서 만든 모든 피조물과
우리에게 낮을 가져다 주는 맏형 태양을 통하여...
당신은 그 태양으로 우리에게 빛을 선사하십니다.
그 태양은 얼마나 아름다운지요. 그 광휘로움은 얼마나 빛나는지요.
지극히 높으신 주님, 태양을 통해 당신의 형상을 봅니다.

성인께서는 하느님 찬양을 쉬지 않았습니다.

그리하여 성인은 죽음을 자매로 생각하며 찬양하는데 이르러 마지막을 장식합니다.

"어느 누구도 그 죽음의 포옹에서 달아날 수 없다네."

성인이 죽음의 막바지에 이르게 되어 형제들에게 들려달라고 부탁한 것이 바로 이 찬양의 시입니다.

1226년 10월 3일 저녁 성인은 소천했습니다.

형제들에게 둘러싸여, 성인의 자매인 클라라의 기도 속에서,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함께 그의 영혼은 떠나갔습니다.


전기작가들은 말합니다. 이 순간 수많은 종달새들이 소리높여 노래하기 시작했노라고.

                                               

출처
http://www.francis.or.kr/Francis/RichestOfPoorK.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