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한 노후 남편과 아내 - 옮겨온 글
▶대법관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장을 마지막으로 은퇴한 분이 다음날 아내가
운영하는 동네 편의점 겸 채소 가계일를 돕고있다는 이야기는 신선하기 거지없다.
마치 옛날 청백리의 설화를 듣는 듯하다. 그 직의 품계가 조선시대의 정일품이나
종일품에 해당하지 않는가.
▶장관을 지낸 어느 칠순 인사가 강원도 고성 산골에 7년째 살고 있다. 그는
"시골 살이 에서 가장 좋은 점은 나 자신이 내 삶의 주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이라고 말한다. 새벽 4시에 일어나 400평 땅에서 과일나무를 키우고 밭농사도
짓는다. 지금껏 감기 한 번 걸리지 않았다. 집에서 자동차로 15분 걸리는
거리에 설악동, 봉포 바닷가, 영랑호가 줄지어 있으니 아무때나 나들이 간다.
▶그는 "아내가 선뜻 동의한 덕분에 시골 살이에 연착륙했다"고 고마워한다.
주변에서 아내가 반대해 전원생활의 꿈을 접는 친구를 많이 봤기 때문이다.
'늘그막에 영감 없이는 살아도 친구 없이는 못 산다'며 낯선 시골에 가지않겠
다는 안방마님이 적지 않다. 손주 재롱을 자주 보기 어렵고 쇼핑 재미도 없다며
손사래를 친다.
▶도시에 살던 부부가 시골 생활에 성공하기란 쉽진 않다. 남편이 아내를 데리고
산골에 들어갔다가 2년 만에 이혼한 사례도 있다. 아내가 장을 보거나 머리
손질이라도 하려면 번번이 읍내까지 나가야 하는 불편을 견디지 못했다. 남편은
시골집에 살지만 시골에 적응하지 못한 아내와 아이만 도시로 나와 전셋집에
사는 가족도 있다. "적막하고 단조로운 시골에서 부부가 둘이서 할 일은 고스톱
밖에 없더라"며 도시로 돌아온 이도 있다.
▶엊그제 미래에셋은퇴연구소가 30~40대 부부를 조사했더니 남편과 아내가
꿈꾸는 노후 생활이 너무 달랐다. 남편 75%는 은퇴한 뒤 전원생활을 원했지만
아내 65%는 대도시 아파트에서 살고 싶다고 했다. "부부가 함께 하루 6~10
시간을 보내고 싶다"는 답은 남편 56%인 반면 아내는 28%밖에 안 됐다.
평생 남편과 자식 수발했는데 늙어서도 시골에 묻혀 남편에게 하루 세 끼
챙겨주며 종일 매이는 게 끔찍할 수도 있겠다.
▶얼마 전 통계청이 "다시 태어나도 지금 배우자와 결혼하겠는가"라고 묻자
남자43.6%가 '하고 싶은 편'이라고 반겼다. 여자 44.8%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된다"고 심드렁하게 답했다. '남편 만족도'가 형편없이 떨어진 세상이다.
밥지을 줄도 모르는 남편일수록 나이 들면 아내 곁에 젖은 낙엽처럼 찰싹
달라 붙는다. 늙은 아내가 기겁할 일이다. 18세기 프랑스 작가 프레보는 부부를
맺는 고무줄이 오래가려면 탄력이 좋은 고무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요즘
남편이야 말로 아내 뜻에 맞춰 굽혔다 폈다 하는 유연성을 젊어서부터 길러야
한다. 그래야 말년이 춥고 배고프지 않다.
**모빌랜드 강남멋장이 여의도사랑**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음 가이드라인' (김태익 위원, 조선일보) (0) | 2013.04.02 |
---|---|
[스크랩] 이 크레파스 기억나세요! (0) | 2013.04.02 |
한계점 /(고도원의 아침편지) (0) | 2013.04.02 |
[죽음]'죽음 가이드라인'(김태익 위원, 조선일보) (0) | 2013.04.02 |
숨겨진 공간 /(고도원의 아침편지) (0) | 201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