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를 바꾸는 프레임 ♧
환경 미화원으로 일하는
아저씨가 있었다. 이른 새벽부터 악취와
먼지를 뒤집어쓴 채 쓰레기통을 치우고 거리를 청소하는
일을 평생 해온 사람, 누가 봐도 쉽지 않은 일에
사람들에게 존경받는 직업도 아니고
고생하는 만큼 급여가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의 표정은 항상 밝았다.
하루는 그 점을 궁금히 여긴 한 젊은이가
그 이유를 물었다.
힘들지 않으시냐고...
어떻게 항상 그렇게 행복한 표정을 지을 수 있냐고...
젊은이의 질문에
환경미화원의 답이 걸작이었다.
나는 지금 지구의 한 모퉁이를 청소하고 있다네.^^
이것이 바로 행복한 사람이 갖고 있는
프레임이다.
이 환경미화원 아저씨는
자신의 일을 돈벌이나 거리청소가 아니라
지구를 청소하는 프레임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구를
청소하고 있다는 프레임은 단순히 돈벌이나
거리 청소의 프레임보다는 훨씬 상위
수준이고 의미 중심의 프레임이다.
행복한 사람은 바로 이런
의미 중심의 프레임을
세상을 본다.
내가 헛되이 보낸 오늘은
어제 죽은 이가 그토록 간절히 원했던 내일이다.
다시는 사랑하지 못할 것처럼 사랑하라.
늘 마지막 만나는 것처럼
사람을 대하라.
이 얼마나 가슴 벅찬 말들인가.
이런 말들은 우리로 하여금 세상을 다시 보게 만들고
이제까지 단 한 번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방식으로
주어진 시간과 사람을 대하게 한다.
이렇게 의미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이
“그냥 하루하루를 대충 사는 거지 뭐”라고 말하는
사람보다 더 의미 있고 행복한 삶을 산다는 건
자명한 일이다. 그런데 보통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갖기 쉬운 프레임은
대게 하위수준이다.
“당장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귀찮아서”, “남들도 다 안 하는데 뭘” 등과
같은 생각은 하위수준 프레임의 전형이다. 그렇다면
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을 나누는 결정적인 차이는 무엇일까?
바로 상위 프레임에서는 “Why”를 묻지만
하위수준의 프레임에서는 “How”를 묻는다는 점이다.
상위 프레임에서는
왜 이 일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의미,
목표를 묻는다. 비전을 묻고 이상을 세운다.
그러나 하위수준의 프레임에서는 그 일을 하기가 쉬운지
어려운지, 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성공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지 등 구체적인 절차부터 묻는다.
그래서 궁극적인 목표나 큰 그림을
놓치고 항상 주변머리의
이슈들을 쫓느라 에너지를
소비하고 만다.
따라서 상위수준의
프레임을 갖고 있는 사람은
NO보다는 YES라는 대답을 자주하고
하위수준의 프레임을 가진 사람은
YES보다는 NO라는 대답을
많이 한다.
상위수준의 프레임이야 말로
우리가 죽는 순간까지 견지해야할 삶의 태도이며,
자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가장 위대한 유산이다. 자녀들이
의미중심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만
있다면 거액의 재산을 물려주지 않아도 혐한
세상을 거뜬히 이기고도 남을 훌륭한 유산을
물려주는 것과 다름이 없다. |